본문





珲春市吴大澂收复国土纪念广场位于吉林省延边朝鲜族自治州珲春市防川国家级风景名胜区内,是为纪念晚清爱国官员吴大澂在 1886 年中俄勘界谈判中收复国土、捍卫主权的历史功绩而建。广场以独特的建筑语言和历史叙事,成为爱国主义教育与边疆文化展示的重要地标。以下从历史背景、建筑设计、核心景观、文化意义及实用信息五个维度展开详细介绍:
一、历史背景:晚清外交的 “破冰之举”
19 世纪中叶,沙俄通过《瑷珲条约》《北京条约》侵占中国东北大片领土。1861 年中俄勘界时,俄方私自将 “土” 字界牌立于距图们江口 44 华里处(条约规定应为 20 华里),导致黑顶子地区(今珲春市敬信镇)被非法占据。1885 年,吴大澂临危受命,与珲春副都统依克唐阿赴俄谈判。他以 “一寸土地尽寸心” 的决心,通过据理力争,最终签订《中俄珲春东界约》,实现三大突破:
重立土字牌:将界碑向图们江出海口方向前移 14 里(约 7 公里),使中国边境线逼近日本海仅 15 公里;
收回黑顶子:327 平方公里领土回归祖国,今敬信镇全境由此纳入版图;
争得出海权:确立中国船只自由出入图们江口的权利,打破沙俄对日本海的封锁。
此次谈判是近代中国少有的外交胜利,吴大澂以 “疆域有表国有维,此柱可立不可移” 的信念,在东北边疆书写了捍卫主权的传奇。
二、建筑设计:数字密码与象征美学的融合
广场占地约 5000 平方米,以 “寸土必争” 为设计理念,核心元素均蕴含历史隐喻:
吴大澂收复国土纪念碑:
尺寸密码:碑宽 1886 毫米对应条约签订年份,高度 1400 毫米对应界碑前移 14 里,厚度 300 毫米对应距图们江口 30 里;底座厚度 500 毫米象征谈判历时 5 个月,高度 327 毫米对应收回黑顶子 327 平方公里;
材质工艺:碑体采用汉白玉与中国红花岗岩,底座四边超出碑体 103 毫米,呼应吴大澂在长岭子所立铜柱宽 1.03 米,柱上铭文 “疆域有表国有维” 清晰可见。
吴大澂花岗岩雕像:
造型语言:雕像高 9 米、宽 11 米,以吴大澂身着清朝官服、手持书卷的形象呈现,面向东南方凝视图们江出海口,眼神坚定如炬;
文化符号:雕像基座刻有吴大澂手书 “龙虎” 二字,取 “龙盘虎踞守国门” 之意,与防川龙虎阁内的 “龙虎石刻” 形成历史呼应。
景观绿雕与步道:
坡地上镶嵌中国地图造型的景观绿雕,“寸土寸心” 四个描红大字镶嵌其间,强化领土主权意识;
沿广场铺设的步道以火山岩与鹅卵石铺就,沿途设置历史事件铜牌,图文并茂展示吴大澂生平与勘界历程。
三、核心景观:凝固的历史史诗
土字牌遗址与龙虎阁:
广场北侧 800 米处即为 “土” 字牌界碑,这座高 1.44 米的花岗岩界碑是中俄边界的重要标志,1960 年修建护堤保护至今,现为国家一级文物;
毗邻的龙虎阁内设有 “丹心寸土・吴大澂” 展览馆,通过蜡像场景复原、历史文献陈列,再现 1886 年谈判现场,其中俄方代表巴拉诺夫的 “俄里” 诡辩与吴大澂的据理驳斥场景尤为震撼。
洋馆坪路堤与历史见证:
广场东侧的洋馆坪路堤长 888 米、宽 8 米,曾是中国最窄领土(最窄处仅 8 米),1983 年通车后结束防川 “飞地” 历史;
路堤北侧立有 “防川风景名胜区” 石碑,碑文记载吴大澂功绩,南侧图们江对岸即为俄罗斯哈桑镇,江景与历史在此交织。
生态与历史的共生:
广场周边湿地栖息着丹顶鹤、白枕鹤等珍稀鸟类,与吴大澂雕像、土字牌形成 “自然 - 人文” 双重景观;
秋季雁群南迁时,广场成为观鸟与历史追思的双重打卡点,人与自然的和谐画卷与百年前的主权抗争形成时空对话。
四、文化意义:边疆精神的当代传承
爱国主义教育基地:
广场年均接待游客超 10 万人次,通过 “国防教育月”“历史课堂” 等活动,成为吉林省中小学研学实践基地;
2024 年 9 月,延边州 “全民国防教育月” 在此启动,同步举办 “吴大澂与珲春” 历史图片展,吸引中俄学者参与研讨。
国际合作的纽带:
广场作为中俄朝三国交界的文化地标,多次举办东北亚边疆历史研讨会,与俄罗斯哈桑区建立 “土字牌学术研究合作机制”;
2025 年计划推出中俄双语导览系统,同步开发 AR 历史场景还原项目,增强国际游客体验。
文化 IP 的衍生价值:
以吴大澂 “龙虎” 石刻为原型,开发文创产品 “龙虎纹” 系列(如书签、镇纸),年销售额超 30 万元;
防川景区将吴大澂故事融入 “一眼望三国” 旅游线路,推出 “重走勘界路” 徒步项目,串联土字牌、龙虎阁、洋馆坪路堤等节点。
五、实用信息:历史追思的 “时空指南”
地理位置:
位于珲春市敬信镇防川村,距市区 65 公里,与俄罗斯包德哥尔那亚镇、朝鲜豆满江市隔江相望;
可自驾沿 G331 国道直达,或乘坐珲春市区至防川景区的旅游专线巴士(发车时间:8:30-11:30,票价 20 元)。
参观贴士:
开放时间:6:00-17:30(17:00 停止入场),冬季可参观冰景中的土字牌;
门票政策:防川景区联票 77 元(含吴大澂纪念广场、龙虎阁、土字牌),60 岁以上老人、学生凭证件半价;
装备建议:携带长焦镜头拍摄土字牌细节,冬季需备防寒衣物(极端低温可达 - 30℃)。
周边联动:
住宿推荐:防川民俗村的朝鲜族民宿(如 “东方第一村” 客栈),体验炕桌美食与民俗文化;
餐饮特色:图们江畔的 “龙虎阁餐厅” 提供江鱼宴,特色菜 “吴公豆腐” 以传统工艺制作,寓意 “清白守土”;
延伸游览:距广场 20 公里的敬信湿地,可同步体验雁潮奇观与吴大澂收复的黑顶子故地风貌。
结语
吴大澂收复国土纪念广场不仅是一座物质性的历史丰碑,更是中华民族边疆精神的具象化表达。在这里,花岗岩雕刻的 “土” 字牌与吴大澂雕像共同诉说着 “寸土不让” 的民族气节,而图们江的涛声与湿地的鸟鸣,则见证着从主权抗争到生态和谐的时代跨越。这座广场,既是对历史的致敬,更是对未来的承诺 —— 在东北亚的风云际会中,中国将始终以坚定的姿态守护每一寸山河。
========== 한국어 ==========
훈춘시 오대징 국토수복기념광장은 중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훈춘시에 위치한 중요한 역사적 기념지로, 청나라 후기의 관료이자 민족영웅인 오대징(吳大澂)의 국토수복 공로를 기리기 위해 조성되었다. 이 광장은 19세기 후반 중러 경계 협상에서 오대징이 수호한 국가 영토와 주권을 기리는 심각한 분위기와 교육적 의미를 담고 있으며, 현재는 국가급 애국심 교육 기지로 손꼽히고 있다.
### 1. **기념비와 조형의 상징성**
광장 중심에는 한백옥과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오대징 국토수복기념비」**가 우뚝 설며, 각 부분의 치수에는 특별한 의미가 담겨 있다.
- **폭 1,886mm**: 1886년에 체결된 **《중러 훈춘동계약》**(中俄珲春東界約)과 **《중러 경계조사록》**을 기념한다.
- **높이 1,400mm**: 오대징이 협상으로 인해 지도에서 14리(약 7km) 남쪽으로 연장한 **「토자패」**(土字牌) 위치를 상징한다.
- **두께 300mm**: 토자패가 도문강 출海口에서 30리(약 15km) 떨어진 곳에 재설된 사실을 나타낸다.
- **기반의 두께 500mm**: 약 5개월에 걸친 중러 협상의 난항을 상징하며, 기반의 각 방향은 비보다 103mm 더 넓어져 있어, 오대징이 경계에 세운 1.03m 너비의 구리 기둥을 연상케 한다. 기둥에는 "강역유표국유유, 이주가립불이이"("경계에 표식이 있으면 국가가 존엄하다, 이 기둥은 서 있어야 한다")는 명문이 새겨져 있다.
### 2. **오대징의 역사적 공로**
오대징은 1885년 청정부의 명을 받아 훈춘으로 향해, 중러 경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협상에 나섰다. 그의 주요 공로는 다음과 같다.
- **토자패 재설정**: 원래 사초봉(沙草峰) 근처에 위치한 토자패를 도문강을 따라 남쪽으로 14리 이동시켜, 중국의 영토권을 확고히 했다.
- **흑정자(黑頂子) 회수**: 327km²의 흑정자 지역(현 경신진)을 러시아로부터 되찾아, 지리적 전략적 위치를 회복했다.
- **도문강 출항권 확보**: 협상 결과 중국 선박이 도문강을 통해 일본해로 진출할 수 있는 권리를 얻었으며, 이는 이후 동북아 지역의 경제 발전에 중요한 기반을 마련했다.
이러한 업적은 청나라가 외세에 항복하는 대세 속에서 유일하게 외국과의 협상으로 국토와 권리를 되찾은 사례로, 역사적으로 큰 의미를 지닌다.
### 3. **기념비와 조형의 상징성**
광장에는 **화강암으로 조각된 오대징 상**이 서 있으며, 이는 높이 약 9m, 너비 11m에 달하며, 동남쪽을 향해 도문강 출海口를 응시하는 모습으로, 생전처럼 국토를 지키는 모습을 표현했다. 상의 아랫부분에는 오대징의 평생을 요약한 문구가 새겨져 있어, 방문객들에게 그의 영웅적인 활동을 소개한다. 또한 광장에는 중국 지도 모양의 **「촌토촌심」(寸土寸心)** 조형물이 있어, "한 입방인치 땅도 소중히 여기자"는 메시지를 전달하며, 애국심 교육의 효과를 강화한다.
### 4. **문화적·교육적 의의**
이 광장은 단순한 역사 기념지가 아닌 **문화와 관광이 융합된 공간**으로 발전했다. 최근에는 **토자패 복원 사례 전시관**과 **오대징 관련 문화상품**이 개발되어, 청소년과 관광객들이 역사를 체험하며 학습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2024년 개관한 **오대징 국토수복기념관**은 청대 풍격의 오층 건물로, 오대징의 경력과 협상 과정, 당시의 군사·경제 상황을 다각도로 보여준다.
### 5. **현재의 모습과 미래 방향**
훈춘시는 최근 이 광장을 **연변지역의 핵심 관광 명소**로 자리잡히기 위해 지속적인 개선을 진행했다. 예를 들어, 주변에 숙박시설과 전통시장을 조성하여 관광객 유치에 노력하며, **「한강에서 도문강까지」**를 주제로 한 여행 코스를 개발해 문화적 가치를 강조하고 있다. 또한, 매년 **「국민국방교육월」** 등 행사를 열며, 오대징의 정신을 계승하는 교육 활동을 다양하게 펼치고 있다.
오대징 국토수복기념광장은 중국 역사의 어두운 시기에도 굳게 서서 국가 영토를 지킨 인물의 영광을 기리는 공간이자, 현대인들에게 "국토는 소중하다"는 메시지를 전하는 생생한 교실이다. 이곳을 방문하면 오대징의 용기와 책임감을 느끼며, 조국의 자존심과 단합을 다짐하게 되는 특별한 경험을 할 수 있다.
Comment List
No Comments